언젠가 우라가 같은 별을 바라본다면 을 읽고
일제 침략기의
아픔을 아는 사람들만의
느끼는 감정은
실로 처참하고 말로
표현하기 어려운
슬픔이라고 들었다.
우리가 잘 아는
그것도 잘 생긴 배우인
차인표 작가의 생각은
이것과는 대조적인
감정을 이 책에서
고스란히 내어 놓았다.
민족 아픔과 좌절
그리고 한이 맺힌
일제 강점기의 시간을
일본 장교와 한국 소녀의
슬픈 시대를 딛고 넘어선
사랑의 결론,
그것은
아마도 민족이란 이데올로기를
뒤로한
우리가 지향해야 할
인본적 사랑의 결론이라
생각된다.
언젠가 우리가
같은 별을 바라본다면
중에서
용이야 ,
이젠 백호를
용서해 주지 않겠니?
용이는
자신의 부모를
죽음으로 몰아넣은
백호에 대한 분노로
가득 차 있지만
순이는 그런 그를
이해하고 위로합니다.
용서를
어떻게 하는지를
모르겠어
상대가 빌지도 않은
용서를
어떻게 해야
하는지 모르겠어.
용서는 상대방이
있고 그 상대방에게
요구하는 것인데
이 글을 보고 있으면
우리나라의
일제시대의 역사를
되집어 보게 한다.
위안부 시대의
용서와
또 강제징용의 산물인
군함도에서의
징용문귀의 부재..
그러한 것들을 용서해야
하는 것이 과연
우리나라의 미덕으로
승화될 수 있을까?
운석열 정부의
안이한 태도와 맞물린
역사 왜곡에서
이 책 글귀의
용서
민족과 시대를 초월한
그 용서의
승화와 절제는
아름답지만
슬프다..
'독서 기록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나의 가능성은 과연 어디까지? (0) | 2024.11.20 |
---|---|
우린 과연..어떤 벽 속에 살고 있을까? (0) | 2024.11.14 |
시점과 작가의 의도.. 어렵다. (2) | 2024.10.30 |
노벨문학상과 함께 독서를 (7) | 2024.10.26 |
한강 작가님의 노벨문학상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(0) | 2024.10.26 |